챗GPT 등장으로 인공지능(AI)제품과 서비스의 신뢰성과 안정성 문제가 크게 부각한 가운데 미국 정부가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오픈AI, 앤쓰로픽(Anthropic) 등 테크기업 4개사 최고경영자(CEO)를 백악관으로 불러 환담하며 AI제품의 안정성과 신뢰성 확보를 강력히 촉구했는 기사가 떳습니다.
아래는 관련기사의 내용인데요.
4일(미국시각) 외신에 따르면 환담에 앞서 백악관은 ▲7개 하이테크 기업의 AI 서비스에 사용한 데이터 공중(公衆) 평가 ▲AI 연구개발에 1억4000만 달러(약 1860억 원) 투입 및 관련 기관 7곳 추가 신설 ▲AI위험은 낮추고 기회는 높이는 방향의 새 정책 마련 등 3개 항의 새 AI정책도 발표했다.
백악관은 이번 조치로 구글, MS, 오픈AI, 엔비디아, 앤쓰로픽, 스태빌리티AI(Stability AI),허깅 페이스(Hugging Face) 등 7개 테크기업이 자사의 AI시스템에 사용한 학습된 데이터를 공중에 공개, 미국 정부가 제정한 지침에 부합하는 지를 평가받는다고 밝혔다. 평가는 이 분야 민간 전문기업인 스케일AI가 주관하며 오는 8월 10일~13일 라스베이가스에서 열리는 세계적 해커 행사 '데프콘 2023'의 부대행사인 'AI빌리지'에서 이뤄질 전망이다. AI빌리지는 데이터과학자와 해커들이 참여해 만든 비영리 커뮤니티다. 보안과 프라이버시와 관련한 AI의 오남용에 대응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백악관이 미국시각 4일 새로운 AI정책을 발표했다. 믿을만한 AI혁신과 미국인권리와 안전을 촉진하기 위해 만들었다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앞서 백악관은 지난 가을 'AI권리장전 청사진(Blueprint for an AI Bill of Rights)'과 이와 관련한 행정 정책을 발표한데 이어 올해초 'AI 위험관리 프레임워크(AI Risk Management FRAMEwork)'와 'AI연구자원 로드맵'을 선보였고, 2월에는 바이든 대통령이 AI 등 신기술의 편향성을 제거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기도 했다. 백악관은 이들 테크기업들의 AI 제품이 이들 지침과 부합하는지 이번 평가에서 확인할 예정이다.
테크기업들의 AI 데이터 공중 평가와 관련해 백악관은 "수천명의 커뮤니티 파트너와 AI전문가들이 테크기업들의 AI 데이터가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과 지침에 부합하는 지 철저히 점검할 것"이라면서 "이들 AI모델의 영향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연구자와 대중들에게 알려주게 될 것이다. 또 AI기업과 개발자들에게는 AI제품에서 발견된 이슈를 해결하는 조치를 취하게 해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테크 세계는 한번 주도권을 뺏기고 나면 되찾아 오기가 쉽지 않은 전쟁터가 될 것 같습니다.
이미 거대한 제국을 완성한 기업들이 좀처럼 허점을 보이지 않는 까닭에 적절한 타이밍에, 미국이 먼저 유리한 고지로 올라갈 준비를 하는 것 같습니다.
과연 챗GPT는 새로운 미래 10년을 이끌 변화가 지금 우리 곁에 다가와 있는 것인지 소스라치도록 긴장하며 더듬거리고 대응해야 한다고 기사는 말하는 것 같습니다.
'머니트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챗GPT'와 마이크로 소프트 '빙' 차이 (0) | 2023.05.10 |
---|---|
이미지 생성 프롬프트 짜는거 어려운 분들 한 번 써보세요 (0) | 2023.05.09 |
Python의 대안 Mojo 언어를 소개합니다. (0) | 2023.05.07 |
ChatGPT 마케팅에 필요한 Prompt 팁 (0) | 2023.05.07 |
대 인공지능의 시대 로맨스 스캠 피하기 (1) | 2023.05.06 |